고속인터페이스 개발 동향 고속인터페이스 기술은 방대한 데이터를 처리, 송수신하는 집적회로시스템의 성능 향상에 필수적인 기술이다. 병렬 링크로 이루어진 금속선 유선 인터페이스가 고속 직렬 링크로 빠르게 대체되면서, 이퀄라이저와 SerDes 등으로 이루어진 PHY와 패킷 기반 다층 프로토콜을 지원하는 controller 설계기술이 더욱 중요해지고 있다.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에 고속인터페이스 기술이 적용되면서, 표준화된 범용 인터페이스 기술의 개발과 함께 다양한 요구사항을 만족하게 해 줄..
1. 모바일 IO 디바이스의 기술 동향 태블릿, 스마트폰, 울트라 씬(Ultra-thin) 노트북, 그리고 각종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와 같은 모바일 기기 시장이 빠르게 확대되면서, 모바일 기기들을 이용한 데이터통신 역시 빠른 속도로 증가하고 있다. <그림 1>의 2012년에서 2017년 사이의 데이터 통신의 이용 수단의 변화 예상도를 보면, 랩탑을 이용한 데이터 통신은 3배 정도 증가할 것이라 예상한 반면, 테블릿, 스마트폰 등 모바일 기기를 사용한 데이터 전송은 8배 이상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
현재 방송, 통신 및 가전 시장에는 DTV, 스마트폰, 보안용 카메라, 휴대용 멀티미디어 기기 등 다양한 멀티미디어 장치들이 사용되고 있다. 이들 기기들에는 멀티미디어 장치들의 다양한 종류만큼이나 다양한 해상도의 디스플레이 장치가 사용되고 있다. 어떤 장치는 720×480 크기의 해상도를 지원하는가 하면,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는 1920×1080 크기의 해상도를 지원하고 있다. 이 외에도 HVGA(480×320), VGA(640×480), 1280×720 등이 사용되고 있다. 이렇게 다양한 해상도의 디스플레이 장..
지난 반세기 동안 반도체 집적회로는 성능, 효율, 비용 그 모든 면에서 눈부신 성장을 거듭하면서 IT산업의 변혁에 있어 그 엔진 역할을 하였다. 1980년대의 퍼스널 컴퓨터 혁명, 1990년대 말의 인터넷 혁명, 그리고 2010년대의 모바일 혁명은 모두 마이크로프로세서와 같은 고집적 반도체 회로의 꾸준한 성능 증가, 전력 감소, 그리고 소형화가 있었기에 가능했던 것이다. 이러한 반도체 집적회로의 성장 추세를 이야기함에 있어 무어의 법칙 (Moore’s Law)을 빼놓을 수 없다. 1965년에 발표한 기사 (제목..